농촌재능나눔>커뮤니티>활동후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찾으시는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활동후기

"동화나무 중앙일보 사람과 사람 코너에 올랐어요"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파일 정보를 제공합니다.

동화나무 중앙일보 사람과 사람 코너에 올랐어요

  • 작성자주석희
  • 등록일2013-08-07
  • 조회수9876
아이들은 인형극에 빠지고 우린 그 눈망울에 홀려 [중앙일보] 입력 2013.07.15 00:12 / 수정 2013.07.15 00:28 칠곡서 인형극 재능 기부 극단 '동화나무’'아줌마들 칠곡 약목초등학교 공연을 마친 뒤 ‘동화나무’ 단원들이 인형을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박준란(42)·김홍선(53)·이경아(41)·황인정(39)·주석희(41)·박복희(42)·황보경(45)·옥명선(56)씨. 섭씨 35도가 넘는 폭염이 기승을 부린 지난 11일. 경북 칠곡 약목초등학교 대강당엔 어린이 400여 명이 인형극 관람에 푹 빠져있었다. 성추행 예방 상황극. 피자 배달부 아저씨가 여자 초등학생을 성추행하려는 장면에선 눈을 가린 채 ‘안돼’라며 야유를 보내기도 했다.  인형 뒤에선 극단원들이 땀을 뻘뻘 흘렸다. 아이들에게 인형의 모습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엄청난 더위에도 검은색 긴 옷을 입고, 두건을 써야 했기 때문이다. 연습과 리허설 공연을 하다 땀띠가 나 고생하는 단원도 있다고 했다. 40여 분 간 이어진 인형극이 끝난 뒤 아이들은 이날 공연을 연 극단 ‘동화나무’(대표 주석희) 단원들과 사진을 찍으려 줄을 길게 늘어섰다. 연예인들과 사진을 찍기라도 하듯 신이 난 표정이었다.  “어릴 때부터 마음 속에 품고 있던 작은 꿈들이 있잖아요. 재능기부를 하면서 그걸 조금씩 완성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큰 매력이죠. 아이들이 좋아하는 모습을 보며 보람을 느낍니다.”  아이들과 사진을 찍던 주석희(41) 대표의 말이다. ‘동화나무’는 경북 칠곡 일대 학교를 돌며 10년째 다양한 주제의 인형극 재능기부를 이어가고 있다. 정기적이진 않지만 2~3개월에 한 차례씩 직접 짠 공연을 무대에 올린단다. 아마추어들이 모여 만든 순수한 재능기부 단체다보니 40분이 넘는 인형극의 대본·안무·무대 연출 등 전부를 40~50대 여성 단원 8명이 직접 꾸린다.  단원 8명 가운데 5명은 10년 전 의기투합한 원년 멤버일 정도로 단원들은 열성적이다. 2003년 지역교육문화센터에서 동화구연을 배우던 이들이 문화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농촌지역 아이들에게 재미있는 공연을 보여주자는 취지로 모임을 만든 게 시작이었다. 창단 멤버로, 인형극 대본 작성을 전담하고 있는 황인정(39·독서논술, 한국어 강사)씨는 “어린 시절 작가가 되는 게 꿈이었다. 내가 쓴 글로 만든 인형극을 보고 아이들이 기뻐하는 걸 보면 힘이 들어도 그만둘 수가 없다”고 했다.  지난해부터 재능기부를 시작한 박복희(42)씨는 뇌종양을 앓는 남편과 대학에 다니는 두 자녀의 뒷바라지를 해야하는 탓에 낮엔 한국어 강사, 밤엔 목욕탕 아르바이트를 하며 바쁜 나날을 보낸다. 단원들은 “(박씨는) 힘든 상황이지만 항상 웃으며 열심히 한다. 승합차로 무대장치를 실어나를 수 있어 요즘 우리 극단 내에서 국보급 대접을 받는다”고 입을 모았다.  직업과 가정이 있는 여성들이 매주 2~3차례 모여 연습하기를 10년째 이어간다는 게 쉬운일은 아니다. 극단 내 최고 연장자인 옥명선(56·논술 강사)씨는 “아이들이 주는 행복 때문”이라 했다. “학교에서 즐거워하는 아이들을 보면 그저 웃음이 납니다. 나이 들어서도 단원들과 함께 아이들을 웃게 만드는 그 과정, 정말이지 행복합니다.” 칠곡=글·사진 한영익 기자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농촌 어린이들과 함께 신나고 즐거운 우리 마을 만들기
다음글 1004재능기부단의 찾아가는 스마일재능뱅크 2013농촌재능기부#31 담양 창평 슬로시티에서 블로그마케팅을~~